묵상노트

270새벽 |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 역풍 앞에 서다2(막2.13-28).

270새벽 | 2.13-28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 역풍 앞에 서다(2).

  

1(시작된 하나님의 나라)2(유대 종교지도자들)에서 즉각적으로 제동이 걸린다.

   역풍(1-12): 신성모독

   역풍(13-17): 세리와 죄인들과 식사

   역풍(18-22): 금식

   역풍(23-28): 안식일 노동

      → 어떻게 하여 예수를 죽일까?(3.6)

 

역풍(13-17) -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먹는다?

주님은 세리와 죄인의 친구로서 함께 식사하신다(13-15). 이번에도 바리새인들은 왜 하지 않아야 할 일을 하느냐며 분노한다(16). 자신들은 세리처럼 더럽고 추하게 살지 않으며, 또한 죄인들로 낙인될 만한 어떤 언행도 하지 않고 살아가는 의인이라는 자기 확신(‘자기 의’)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수님은 모든 사람이 다 병든 자이며, 그들을 치료할 자는 오직 예수님 자신이라 하신다. 주님의 눈에는 세리나 바리새인이나 다 죄인이다. 그렇다면 죄인(바리새인)이 의인(예수 그리스도)을 죄인이라 정죄하면서까지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를 방해하는 것 아닌가. 역풍 치고는 참 민망하다.

 

역풍(18-22) - 금식

이번에는 예수님을 금식 한번 하지 않는 경건하지 못한 사람이라 정죄한다. 문제는 나는 하는데 너는 왜 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결국 금식을 한다는 것을 무엇으로 쓰고 있냐면 하지 않는 사람 때려잡는 방망이다.

이처럼 나는 금식한다. 나는 기도한다. 나는 봉사한다. 나는 헌신한다. 나는 ○○한다.”는 배타적 독선주의라는 자기 중심주의에 빠져 주님 없이 살아갈 수 있다. 신앙의 이름으로 다른 사람을 정죄하고, 비난하고, 사사건건(事事件件) 시비하며 사는 셈이다. 금식의 본질은 온대간대 없고, 금식이라는 자기 의()만을 내세우고 있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는 일은 요원할 뿐이다.

 

역풍(23-28) - 안식일

안식일 계명은 이미 구약에서 명문화된 말씀이다(20.8-11, 31.12-17). 하지만 지금 바리새인들은 하지 말라를 어기고서 뭔가 을 하는 것 자체를 문제 삼는다(24). 아마도 유대 전통과 전승에 따른 39 가지의 금지행위를 들고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구약에는 구체적인 금지 조항은 없다. 단지 음식 조리를 위해 불을 지피는 것(35.3), 땔감을 모으는 것(17.21- ), 상거래(10.31, 13.15,19) 정도를 금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바리새인들이 문제를 삼고 있는 것은 -제자들이 안식일에 밀밭에서 밀 이삭을 자르는 것- 구약 율법에 구체적으로 금지된 것들은 아니다. 이를 다윗의 예를 들어 바른 이해를 구하신(2.25-26, 삼상21.1-6) 그리고 이어서 안식일에 대한 매우 놀라운 말씀을 하신다: “안식일은 사람을 위하여 있는 것이요 사람이 안식일을 위하여 있는 것이 아니니, 이러므로 인자는 안식일에도 주인이니라.”(27-28)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대 종교지도자들은 안식일에 사람을 억지로 끼워 맞춤으로써 사람을 수단으로 취급해 버린다.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를 거역하고 방해하는 바리새인들의 바람 앞에 주님은 정면선언을 하신다: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17b) 그러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신다. 결국 이 천국 복음, 메시야 사역을 방해하고 거역하는 자가 누구인가. 바로 종교 지도자들, 바리새인들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부르는 찬송가 373고요한 바다로’ 2절 처럼이다: “큰 물결 일어나 나 쉬지 못하나 이 풍랑으로 인하여 더 빨리 갑니다.”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은 이 역풍 중에도 전파된다. 회개와 복음을 믿음으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고 있다. 사탄도, 바리새인들도, 율법도 이를 막을 수 없다. 회개와 복음을 믿는 것이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고 이루어지는 씨앗이라고 한다면 오늘도 이 일을 위해 주님을 바라보며 성도로 살아가는 것, 참으로 영광스럽고 복된 헌신이요 충성이다.

   

[설교듣기]

200305_시작된 하나님의 나라, 역풍 앞에 서다2(먹2.13-28)..m4a

  

  • 댓글달기
    아멘 아멘!! 감사합니다. 낮은 자로 오셔서 죄인들과 함께 하시는 주님.... 저도 먼저 죄인임을 고백합니다. 그런 저에게도 찾아와 주셔서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시니 매 순간 율법이 아니라 말씀으로 나어갑니다. 혹시나 바리새인처럼 그런 눈으로 교회를 성도들을 바라보고 있진 않은지도 생각해보며 하루를 살아갑니다.

    우리 성도님들이 많이 보고픈 하루입니다. 모두가 그렇겠지만 ... 육성으로 말씀을 전해주심에 참으로 귀하고 감사합니다. 모두 샬롬입니다.♡
  • 댓글달기
    "나를 따르라" 부르시는 주님의 음성을 들은 레위는 바로 일어나 따랐고 제자가 되어 하나님 나라와 주님이 사역에 쓰임받게 됩니다. 순종한 제자들과 달리 주님 사역에 거역하며 가로막는 반대세력이 있지만 "회개하라, 복음을 믿으라" 말씀으로 명령하시는 주님은 너무나 멋진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오늘도 세상에서, 삶에서 주님의 자녀로서 말씀에 순종하며 주님께만 영광 돌리는 하루되길 기도합니다. 아멘
제목 날짜
289새벽 | 나는 메시야로 왔노라(막11.1-19). (1) 2020.03.27
288새벽 | 주님처럼 섬기며 살라하네!(막10.32-52) (1) 2020.03.26
287새벽 | 구원 받은 자는 다르게 산다(막10.17-31). (2) 2020.03.25
286새벽 | 가정(家庭)을 흔들지 말라!(막10.1-16) (1) 2020.03.24
285새벽 | 제자도Ⅱ: ‘누가 크냐’의 제자도적 답은 섬김이다(막9.30-50). (2) 2020.03.23
284주일 | 영광의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언제?(행7.1-4) 2020.03.22
283새벽| 신앙고백․수난예고❶․제자도I(막8.27-9.1) 2020.03.20
282새벽 | 바리새인들의 누룩을 조심하라!(막8.1-26) (1) 2020.03.19
281새벽 | 믿음, 부정을 넘어 정결한 하나님의 나라로!(막7.24-37) (1) 2020.03.18
280새벽 | 참된 정결은 무엇인가?(막7.1-23) (1) 2020.03.17
279새벽 | 주기도문: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 (막6.45-56) (2) 2020.03.16
278주일 | 스물여덟살 요셉, 지키어 인내로!(창40.5-23) 2020.03.15
277새벽 |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 멈추지 않는다(막6.1-13). (1) 2020.03.13
276새벽 | 하나님의 나라, 믿음의 눈으로 보라!(막5.21-43) (1) 2020.03.12
275새벽 | 예수와 함께 천국 쪽으로 걷고 있는가?(막5.1-20) (2) 2020.03.11
274새벽 | 광풍 앞에 믿음이 있습니까?(막4.35-41) (2) 2020.03.10
273새벽 | 천국은 비유의 말씀처럼 자란다(막4.21-34). (1) 2020.03.09
272주일 | 욥에게서 길을 찾다(욥1.1-12). 2020.03.08
271새벽 |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 역풍 앞에 서다3(막3.1-19). (1) 2020.03.06
270새벽 | 시작된 하나님의 나라, 역풍 앞에 서다2(막2.13-28). (2) 202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