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노트

320새벽 | 악인을 끊고 의인을 세우소서!(시7.1-17)

320새벽 | 7.1-17

악인을 끊고 의인을 세우소서!

 

자신을 뒤쫓는 모든 원수들에게 포위되어 일촉즉발(一觸卽發)의 위기의 때에 오직 하나님께 피하는 자로 당당하게 선다(1-2). 그는 이렇듯 고난 당해야 할 아무런 이유를 찾지 못하고 있음을 담담하게 고백한다(3-4). 오직 하나님만이 시시비비(是是非非)를 가릴 분이심을 고백하는 다윗(5-16), 그러니 이 와중에도 감사와 찬양이 터지는 것 아닐까(17).

 

나를 구원하소서.

다윗은 생사(生死)의 갈림길에 서서 건져낼 자’(2)이신 하나님을 바라본다. 그는 사자같이 찢고 뜯는 원수(대적, 악인)를 향해 보복하기를 원치 않는다. 반대로 심판주이신 하나님을 찾고, 구하면서 절박하게 움직인다.

자신이 결백한 만큼 이제 싸움은 자신과 베냐민 사람 구시가 아니라 하나님과 대적들이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3-5 6-9). 그렇다면 다윗이 믿고, 그래서 구원해 달라고 요청하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대적들의 노를 막으시는 분이시며(6a), 저들에게 심판을 행하시는 분이시다(8a). 이처럼 하나님은 악인의 편이 아니라 마음이 정직한 자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이시며(10), 의로우신 재판장이시다(11a).

 

원수를 심판하소서.

앞서 다윗은 하나님 앞에 자신의 무죄함을 토로하였다(1-11). 그러면서도 자신을 고통 가운데 몰아넣은 베냐민 사람 구시를 원수’(대적)이라 부르면서 그를 하나님의 공의의 심판에 호소한다. 이것은 원수에 대한 신약의 입장과 그 맥을 함께 한다(12.19): “내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친히 원수를 갚지 말고 하나님의 진노하심에 맡기라. 기록되었으되 원수 갚는 것이 내게 있으니 내가 갚으리라고 주께서 말씀하시니라.”

바로 이처럼 하나님께만 호소하며 기도하면서, 동시에 죄인이 회개하지 아니하면”(12a) 하나님께서는 그를 향해 심판의 칼을 가하실 것임을 분명히 한다. 그런데도 악인은 여전히 칼을 갈고 있는 것 같은 분위기다(12). 하지만 그가 알아야 할 것은 이런 배은(背恩), 즉 회개의 기회를 선용하지 않는 것은 결과적으로 심은 대로 거두는 결과를 낳게 될 뿐이다는 점이다(14-16; 6.7 참조).

이런 자를 향한 다윗의 언어가 빛난다: “악인이 악을 품고 못된 것을 임신하여 거짓을 낳았구나.”(14, 현대인의성경) 여기서 악을 품고는 이어지는 문맥과 연결해 볼 때 악을 잉태한 자를 의미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결국 베냐민 사람 구시의 언행은 잉태에서 출산까지의 모든 여정이 다 악인으로서 자행하는 짓이고, 그 결과는 자업자득(自業自得)일 뿐이다. 이것이 하나님의 공의에 호소하는 심판이다.

 

     [결백서약](3-5)

     *베냐민 사람 구스에게 찢기고 뜯길 일을 행하지 않았다(3a).

     *내 손에 죄악, 곧 불의가 없다(3b).

     *화친한 자를 악으로 갚지 않았다(4a).

     *대적에게서 이유 없이 빼앗지 않았다(4b).

 

한편 만일 자신의 고백이 가짜라면 원수에게 짓밟히고 명예가 실추되어도 상관없음을 담대하게 외친다(5). 이것이 다윗이 선언하는 자신의 죄 없음에 대한 의()의 고백이자 결백서약이다(8b). 그만큼 베냐민 사람 구시의 언행(言行)에 대해 하나님께 대하여, 또한 공격하는 자에 대하여,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하여 결백하다는 얘기다.

이 시편의 압권은 17절이다: “내가 여호와께 감사함이여 찬양하리로다.” 다윗은 베냐민 사람 구시의 일이 아직 종결되지 않은 진행형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 드리는 노래(기도)의 대미를 감사와 찬양으로 마무리하고 있다(17). 벌어진 문제 앞에 서 있는 다윗의 견고한 신앙과 오직 하나님께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흔들림 없는 모습에서 내가 걸어가야 할 길을 발견한다. 다윗이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 같은 마음으로 묵상과 한 날의 삶 앞에 서는 아침이다.

 

[설교듣기]

200507_ 악인을 끊고 의인을 세우소서!(시7.1-17).m4a

  

제목 날짜
330새벽 | 공의로우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시18.16-29). 2020.05.19
329새벽 | 하나님이 나의 힘입니다(시18.1-15). 2020.05.18
328주일 | 내 인생행전에 넣어주신 벧엘(창35.1-15) 2020.05.17
327새벽 | 예배자의 법칙(시15.1-5) 2020.05.15
326새벽 | 어리석음의 꼬리를 끊으라!(시14.1-7) 2020.05.14
325새벽 | 인생후반전, 흔들리며 피는 꽃으로!(시13.1-6) 2020.05.13
324새벽 | 입술은 경건의 척도다(시12.1-8). 2020.05.12
323새벽 | 하나님이 답(答)이다(시11.1-7). 2020.05.11
322주일 | 나오미 스타트(룻2.17-23) 2020.05.10
321새벽 | 참 아름다와라!(시8.1-9) 2020.05.08
320새벽 | 악인을 끊고 의인을 세우소서!(시7.1-17) 2020.05.07
319새벽 | 약할 때 강함 주시네!(시6.1-10) 2020.05.06
318새벽 | 일상행전을 사는 예배자의 기도(시5.1-12) 2020.05.05
317새벽 | 고난과 기쁨의 협주곡(시4.1-8) 2020.05.04
316주일 | 믿음을 물려주고 있습니까?(눅8.40-42,49-56) 2020.05.03
315새벽 | 복 있는 사람의 노래(시1.1-6) 2020.05.01
314새벽 | 하나님께서 예루살렘에 거하신다(겔47.13-48.35). 2020.04.30
313새벽 | 이 강물이 이르는 곳마다(겔47.1-12) 2020.04.29
312새벽 | 제사와 절기, 곧 예배를 회복하라!(겔 45.18-46.24) 2020.04.28
311새벽 | 땅과 백성, 그 안에 든 하나님의 마음(겔45.1-17) 2020.04.27